전체 글
-
그들만의 우상아달랴 2021. 11. 26. 08:45
그들의 우상-“성0이” 이모에게는 아들과 딸 내외가 있는데, 교회를 물려받기 위한 치열한 암투가 그들 사이에, 시작되었던 것이다. 세상에서 말하는 ‘성공’ 이후로, 자식들 간에는 오랜 ‘다툼’이 시작되었다. 그러면서 아들내외가 점점 밀리기 시작하였고, 이모와 아들내외와의 관계도 점점 멀어졌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모네 아들 내외가, 자신의 어머니와는 등을 지고, 나의 어머니를 찾아오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그들은 나의 어머니를 자신의 어머니라고 불렀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어머니 교회를 물려받은 듯이 행동을 하였다. 그러니, 이제는 이모까지 신이 났다. 자기 아들이 자기 언니의 교회를 물려받는다고 생각하니, 하늘을 찌를 듯이 기분이 날아갔다. ‘자기 딸과 사위는 자..
-
세상에서 말하는 ‘성공’ 그리고 그후아달랴 2021. 11. 26. 08:21
기독교 계통의 제법 알려진 유명한 출판사를 통해서, 아달랴가 어떻게 딸을 버렸으며, 어떠한 고통을 당했는지 그 아픔의 과정을 적나라하게 기록하였다. 교회건물 때문에 어떻게 가족 간의 ‘의’가 상하고, 가족관계가 단절되었는지 책 한 권 전체로 기록하여, 대한민국에 알렸다. 이 책은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 24등 전국 서점에 팔고 있다. 이처럼, 대한민국 사람들에 공개적이고 명백하게 2012년부터 지금까지 일관성 있게 재산에 관심이 없고 회복을 간절히 밝혀 왔다. (후에, 이 책은 라는 제목으로 누가출판사에서 되었다.) 세상에서 말하는 ‘성공’ 이후로, 자식들 간에는 오랜 ‘다툼’이 시작되었다. 이모에게는 아들과 딸 내외가 있는데, 교회를 물려받기 위한 치열한 암투가 그들 사이에,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러..
-
“돌 위에 돌 하나도 남지 아니하리라.”아달랴 2021. 11. 26. 08:05
사진의 교회가 크고 좋아 보이는 가? 사진속의 교회는, 의 일로 인해 문제가 된 바로 그 교회이다. 76살의 어머니가 10살도 안된 “사촌 손자”에게 100억대의 교회재산을 준다고, 친딸을 자신의 손으로 직접 내쫓는 일을 본 적이 있는가? 내가 겪은 이러한 건은, 거의 확률이 없는 그러한 일이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크고 화려한 을 보며 이러한 말을 한다. “예수님, 보십시오! 성전이 이렇게 크고 아름답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말씀을 하셨다. “돌 위에 돌 하나도 남지 아니하리라.” 예수님의 제자들은 성전의 외부가 아름답게 잘 꾸며진 것을 보고 감탄을 하였다. 이 성전은 헤롯이 주전 19년부터 유대인의 민심을 사기 위하여 건축되기 시작하였는데 주후 27년경에는 완성되지 못한 채 46년이 되었고(요 2:2..
-
볼트만의 실존론적 성서이해신학참고자료/신약 2021. 11. 26. 01:39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 이해 불트만이 성서 해석시 받은 영향은 3가지이다. 첫째는,19C 역사 비평적 자유신학인데 성서에 대해 자유롭고 비평적으로 연구하며 과거는 신비적, 초자연적이고 현대는 이성적이라는 현대에 대한 긍정(Bejahung)이며 둘째는,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인데 철저한 계시 즉 인간에게 하나님은 감추어져 있어서(absconditus deo) 인간으로 부터는 하나님에 대하여 말할 수 없다이며 세째는,하이덱거의 실존철학인데 불트만은 철학이 하나님에 대하여서는 말할수 없지만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서는 말할수 있다고 보았다.실존론적 인간 이해가 인간에게 유효하다고 본것이다. 그는 그가 쓴 작지만 작지않는 그의 책 Neus Testaament unt Mythologie & Das Problem Der..
-
구약성서와 고대 근동세계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1. 26. 01:34
구약 성서의 하나님 1. 구약성서와 고대 근동 세계 1) 고대 근동 세계 고대 근동 세계의 발견은 새로운 문화권을 우리 앞에 열어 주었다. 고대 근동(Ancient Near East) 이라고 할 때는, 이집트로부터 시작하여 팔레스타인- 시리아, 그리고 메소포타미아까지의 방대한 지역을 말한다. 시리아- 팔레스타인의 샘족 중에서도 가장 두각을 나타낸 것은, 비록 역사의 무대에는 나중에 등장하였으나, 히브리 사람들이다. 그들이 남겨 준 구약성서는 고대 세계가 우리에게 물려준 커다란 유산이다. 우리가 구약성서를 통해 알게 된 히브리 문학은, 우선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의 문학에 비해 그 전수과정이 다르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다. 구약성서는 이스라엘이라고 하는 특정 민족의 종교적인 역사를 설명하기 위한 뚜렷한 목적..
-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1. 26. 01:33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 參考書籍 1.福音과 하나님 나라 성서유니온 2.福音과 하나님의 계획 성서유니온 3.舊約의 하나님 나라 신학정론사 4.聖經교향곡 I V P 1.들어가는 말 : 성경의 統一性이란 무엇일까? 성경전체를 일괄성있게 흐르고 있는 主題는 무엇일까요? 참고구절 :눅24:25-27/44-48/요 5:39-40/행 1:3/8:12/14:22/20:25/28:31/ 롬 1:1-4 해설> 구약은 분명히 福音을 기록한 말씀입니다. 즉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 님 나라 건설을 全歷史를 通해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이어 받은 신약교회(새 이스라엘)의 가르침의 중심이 그리스도와 하 나님 나라(롬 1:1-2,막 1:15)가 되었습니다. 문제는 ‘이 그리스도가 누인가’하는 질문이 신약교회의 새로..
-
하나님은 당신의 예배를 받으시는가?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1. 26. 01:30
구약의 예배 1. 예배의 주도권 여기서는 하나님께서 어떻게 예배를 주도하시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하나님께서는 주도권을 가지고 자신의 이름과 영광과 속성, 그리고 자 신이 행하시는 일들을 보여주심으로 우리 속에서 예배할 마음이 일게 하신다. 당신은 예배 시간에 백일몽에 빠져 본 적이 있는가? 졸지 않으려고 자신과 싸워 본 적이 있는가? 이런 때 옆 자리에 앉은 사람이 친절하 게도 팔꿈치로 꾹 찔러서 꿈에서 깨도록 만들어 주었을 것이다. 주일 아침 예배 시간이 우리의 일주일 생활 가운데 아마 가장 지겨운 시간 이 아닌가 생각된다. 귀찮게 왜 예배에 참석해야 하는지 의아해 할는 지도 모르겠다. 무언가 잘못되었다. 그리고 우리 자신도 이것이 잘못 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상황을 개선하는 것이 힘들..
-
부모나 형제가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다.아달랴 2021. 11. 26. 01:28
변해 버린 사울 -돈과 명예와 권력에 집착하는 한 낱 욕심 많은 노인네 부모의 영적인 권위는 부모의 그럴듯한 ‘말’을 통해서가 아닌, ‘행동’을 통해서 배운다. 자녀가 ‘나도 아빠처럼 목회자가 될 거예요.’, ‘부모님을 존경해요.’ 라는 고백을 들을 수 있는 부모는 정말 행복한 부모이다. 그렇지만,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는 자녀의 마음속에서 부모를 향한 존경심을 잃어 버렸다면, 그보다 불행한 ‘일’은 없을 것이다. 돈 때문에, 가족관에 ‘의’가 상하고, ‘욕심’ 때문에 ‘부모나 형제’가 ‘남’보다 더 못한 사이가 되었을 때, 얼마나 가슴 아픈 줄 아는가? 그 아픔이 얼마나 큰지, 가슴 한쪽이 얼마나 아려 오는 지, 그 아픔은 죽을 때 까지 잊지 못할 것이다. 나이가 들어 갈수록, 부모의 욕심을 내려놓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