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사해사본의 발견과 출판신학참고자료 2021. 12. 16. 07:03
사해사본의 발견과 출판 히브리어로 쓰여진 구약성경을 우리말로 번역할 때 번역자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부딪치게 된다. 1장 “히브리어 본문의 상태”에서 필자는 우리에게 전해진 히브리어 본문에 우연한 실수나 고의적인 본문 변경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성경 번역자는 변경된 본문까지 회복해가면서 번역을 하게 된다는 점을 밝혔다. 구약성경 번역의 대본이 되는 히브리어 본문이라고 하면, 그것은 곧 「마소라 본문」을 일컫는 것이다. 비록 「마소라 본문」의 전신이었던 「전(前)마소라 본문」이 기원전부터 형성되고 있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은 기원후 7세기이므로, 「마소라 본문」이 확정되기 이전에 나온 고대의 히브리어 사본과 고대의 번역본들은 「마소라 본문」 가운데 변경된 본문을 회복하는 데 없어서..
-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 이해신학참고자료 2021. 12. 16. 07:01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 이해 불트만이 성서 해석시 받은 영향은 3가지이다. 첫째는,19C 역사 비평적 자유신학인데 성서에 대해 자유롭고 비평적으로 연구하며 과거는 신비적, 초자연적이고 현대는 이성적이라는 현대에 대한 긍정(Bejahung)이며 둘째는,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인데 철저한 계시 즉 인간에게 하나님은 감추어져 있어서(absconditus deo) 인간으로 부터는 하나님에 대하여 말할 수 없다이며 세째는,하이덱거의 실존철학인데 불트만은 철학이 하나님에 대하여서는 말할수 없지만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서는 말할수 있다고 보았다.실존론적 인간 이해가 인간에게 유효하다고 본것이다. 그는 그가 쓴 작지만 작지않는 그의 책 Neus Testaament unt Mythologie & Das Problem Der..
-
아모스는 어떤 사람인가?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6. 06:57
하나님의사람과인간의사람 : 아모스 7:10-17 I. 아모스는 어떤 사람인가? 어떤 성서학자들은 아모스를 소개하는 암 1:1에서 그의 아버지 이름이 거명되지 않고, 또한 목자라는 신분을 근거로하여 그를 하류층에 속한자로 보며 그 자신이 민중으로서 ‘민중을 위해서 투쟁한 자’로 이해하고 있다(예를 들면 S.Terrien, 김정준). 그러나 이것은 올바른 판단으로 보이지 않는다. 첫째, 12소예언자들 가운데 절반에 해당되는 예언자들이 그들의 아버지 이름이 거명되지 않고 소개되고 있다. 예를들면 미가, 오바댜, 나훔, 하박국, 학개, 말라기가 여기에 속한다. 아버지 이름의 언급유무를 가지고 예언자의 사회적 신분을 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둘째, 암 1:1에 나오는 ‘목자’에 해당되는 히브리어는 ‘노케드(דק..
-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6. 06:53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A.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비교 대조하라. (관심상의 차이) 문헌개요 : 노르만 엘 가이슬러. 구약성경개론, 엠마오, pp214-229 구약학회. 구약학회자료집 94-4 역사서 연구 , 총신대학신대원구약학회, pp74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동시대인이다. 두 사람은 모두 하나님의 사람이었는데 각기 다른 직업을 갖고 있었다. 에스라는 제사장이었고, 느헤미야는 평신도로서 아닥사스다왕의 궁중 관원이었다. 그러므로 에스라의 직무는 종교적이었고, 느헤미야는 시정에 관련된 것이거나 국가적인 일이었다. 각자는 그가 부르심 받은 사역을 위하여 특별히 준비된 자들이었다. 제사자이며 서기관이었던 에스라는 하나님의 율법에 기초하여 성전을 중심한 영적인 갱신에로 백성들을 인도하기에 이상적인 사람이었다...
-
이스라엘중간사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6. 06:49
이스라엘중간사 序 論 이천년 전의 기독교 역사에는 예수그리스도의 사역과 그 밑 바탕이 된 당시의 사회와 문화 또한 역사적 사실들이 매우 중요하게 나타난다. 즉 기독교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초기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전과 이후의 시대상을 바르게 이해하여야만 올바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헬레니즘이 유대에 끼친 영향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헬라문화는 이후 유럽세계를 이끌어 나가는 문화로 꽃피워 졌고 크리스트교는 이러한 헬레니즘 문화에 접목되어 당시의 로마에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이에 알렉산더 대왕의 헬라제국의 성립과 분열 그 상황속에서의 유대의 상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本 論 A. 헬레니즘 세계의 형성 1. 알렉산더의 정복과 정책 a. 알렉산더의 통일제국 다니엘서 2장에는..
-
구약 제사의 기원과 발전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6. 06:48
제목:이스라엘의 제사제도 구약의 제사는 하나님께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방편이었다. 구약 의 제사 의식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이미 그 효력을 상실했지만, 하나님께서 직접 부여하신 제사 의식이라는 점에서 그 정신적인 배 경을 이해하는 것은 유익하며, 이로써 오늘날 신약교회가 살아있는 영적 예배를 드리기 위해 필요한 좋은 지침을 발견할 수 있다. 구약 제사의 기원과 발전 고대 근동 세계에서도 제사 행위가 있었지만, 이스라엘의 종교 공동체가 여호와께 종교 공동체가 여호와께 드리는 제사는 '통일된 하나의 전체'체계로서 특징지워진다. 그리고 구약 제사를 설명할 때 많이 사용되는 히브리어 용어인 '자 바'는 '제물로 드리기 위해 죽인다'는 으미로, 이스라엘 제사에서 동물을 죽이는 의식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을 보여..
-
이스라엘 역사 / 지그프리트 헤르만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6. 06:46
이스라엘 역사 지그프리트 헤르만 II부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 1. 사울 왕국 개별적인 이스라엘 지파들이 이른바 사사들의 시대에 긴박한 위협의 압박 아래서 서로 단결하였다. 카리스마적인 지휘자들이 다스렸던 이스라엘 영토를 침해하는 이웃 적들의 공격들은 본질적으로 시대적으로나 지역적인 경계지었다.점차 제도적으로 조직정돈된 세력이 서쪽 해안지대에서부터 밀어들어와 전체 영토를 확장하려는 물결 속에서 이스라엘인들의 지역을 수축시켰다.따라서 절실하게 호소되었던것은 한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의 장기 지도체제, 즉 종신집권 사사통치였다.이런 고찰들을 살펴볼때 이스라엘의 초대왕 사울은 처음에는 여전히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였다. 그는 우선적으로 지파들을 동원하는 지도자였고 한 군대의 왕이였다. 이스라엘은 하나의 지파공동체였다...
-
율법에 대하여신학참고자료/구약 2021. 12. 12. 22:30
율법에 대하여 형제들아 내가 법 아는 자들에게 말하노니 너희는 율법이 사람의 살 동안만 그를 주관하는 줄 알지 못하느냐 남편 있는 여인이 그 남편 생전에는 법으로 그에게 매인바 되나 만일 그 남편이 죽으면 남편의 법에서 벗어났느니라 그러므로 만일 그 남편 생전에 다른 남자에게 가면 음부라 이르되 남편이 죽으면 그 법에서 자유케 되나니 다른 남자에게 갈지라도 음부가 되지 아니하느니라 그러므로 내 형제들아 너희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말미암아 율법에 대하여 죽임을 당하였으니 이는 다른이 곧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신 이에게 가서 우리로 하나님을 위하여 열매를 맺히게 하려함이니라 (로마서 7:1-4) 1.머리말 율법에 대한 신학적 논쟁은 초대교회 시대로부터 시작해서 종교개혁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어 오고 있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