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참고자료
-
로마의 기독교 공인과 국교화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8
주후 250년 부터 300년 사이의 기독교는 상상하기 힘들정도의 엄청난 박해를 견디며 굳건히 성장해 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독교 박해 역시 오랜기간 지속되지는 못하였습니다. 역사상 가장 심하게 박해하던 디오클레티안 황제가 박해를 시작한지 2년만에 자발적으로 퇴위한 후 황제가 되려고 다투는 자가 동시에 네명이나 등장하였습니다. 동쪽에는 리시니어스(Licinius)와 막시무스 디아스(M. Dias) 서쪽에는 콘스탄틴(Constantin)과 막센티우스(Maxentius)가 서로 황제가 되기 위하여 일어났으며 서로의 필요에 따라서 콘스탄틴과 리시니어스, 디아스와 막센티우스가 동맹을 맺었다. 결국 이들의 왕위 다툼은 주후 312년 콘스탄틴이 막센티우스와 싸우기 위하여 로마로 진군하여 승리함으..
-
십자군전쟁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6
십자군전쟁 십자군 전쟁은 원래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 즉 회교도들의 손으로 부터 탈환하여 성도를 회복하려는 운동이었습니다. 주후 1074년 이교도의 군대에게 성도인 예루살렘을 빼앗긴후 거의 한세기동안 이교도들의 손에 점령되어 있었는데 이로 인하여 기독교인들의 성지순례가 막대한 장벽앞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교 유물들을 존경도 하지 않았고 또 순례자들이 그 땅에 가는 것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에 클루니 수도원의 경건운동은 종교적 경건을 육성하여 성지 탈환의 분위기가 고조되었습니다. 황제 알렉시스 콤베머스는 이교도들이 동로마제국의 영토를 서서히 점령하자 교황 우르반 2세에게 원조 해줄 것을 청원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르반은 희랍 제국의 잃어버린 지방들을 회복할 원조군을 모집할 ..
-
요한 웨슬레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5
요한 웨슬레 감리교 창시자 요한 웨슬레는 1703년 6월 28일 영국 엡워드교구 목사 사무엘 웨슬레와 아내 수산나의 15번째 아이로 태어났다. 요한 웨슬레의 어머니 수산나는 친가의 독실한 종교생활 환경에서 자 라나 그 믿음이 신실했다. 그의 어머니는 집안에 [가정학교]를 만들어 열아홉명의 자녀들을 직접 가르치며 교수과목과 교육방침도 결정했다. 자녀교육의 제일의 목표를 규칙 생활로 정해 아이들의 방종을 제재함 으로써 착실한 종교교육을 시켰으며 매일 저녁 시간을 정해놓고 개별상 담과 기도도 해주었다. 요한 웨슬레가 위대한 종교지도자가 된 것은 이런 어머니의 영향이 컸 다. 일년에 한번 엡워드교구 목사의 집에서는 [알파벴잔치]라는 것이 있었 다. 이는 자녀가 다섯살이 돼 첫 공과를 배우기 시작하는 날로..
-
로마의 기독교 10대 박해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3
로마의 기독교 10대 박해 1.고대최초의 핍박사건 1) 64년,네로(Nero)황제의 치하에서 2) * 로마와 그 변두리에서만 발생. * 기독교인들이 로마방화의 희생양이 됨. * 기독교인들을 불태워 네로 황제의 정원을 밝힐 정도. 3) 주요 순교자 - 바울, 베드로 2.두번째 박해 1) 약 90-96, 도미티안(Domitian) 황제치하에서 2) * 주로 로마와 소아시아지방 * 황제신에게 절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박해받음. 3) 주요순교자 - 로마의 클레멘트, 요한(밧모섬으로 유배) 3.세번째 박해 1) 98-111, 트라얀(Trajan) 황제치하 2) * 산발적으로 번짐 * 애국심에 대해서 의심받던 다른 단체들과 함께 수난당함 * 기독교인들은 발견되기만 하면 형집행당함. 그러나 쉽게 발각되지는 않았음. 3..
-
프랑스 종교 개혁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2
프랑스 종교 개혁 프랑스의 개신교는 에라스무스적 개신교였다. 이들은 기존 교회의 예배의식에 참여하고 평신도들은 자기 자녀들의 세례를 기존 교회에 요구했고 많은 경우에 있어서 그들은 미사에 참석했다. 사제들은 자신의 직무 수행을 거절하지 않았다. 이러한 태도는 칼벴에 의해 1544년 부터 "니고데모파"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다. 니고데모파들이 종교개혁을 위태롭게 하고 있음을 의식한 칼벴은, 1537년부터 두편의 중요한 서신 속에서 복음주의 신앙과 기존 예배에 참여하는 것 사이에 온 갖 타협이 있음을 고발했다. 그러나 이 편지들은 내적으로는 가담하지 않으면서 그 의식 자체는 큰 문제로 여기지 않는 자들의 신학적 입장이 야기하는 위험을 쫓아내지 못했다. 그리하여 그는 1543년에 이 문제를 [교황주의자들..
-
영국의 종교개혁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30
영국의 종교개혁 대륙과 스크틀랜드에서의 종교개혁이 교회의 인물들에 의해 기도되었다면, 영 국 종교개혁은 국가의 보호하에 보다 정확히 말하면 군주제의 보호하에 준비되 고, 세워지고, 재건되었다. 헨리 8세는 로마와 결별하면서 종교개혁을 준비하였 고, 서머세트공과 노덤버랜드 공이 에드워드 6세 치하에서 종교개혁을 세웠으며, 엘리자베드가 "옛 종교"로 자기 백성을 끌고간 메리 튜더의 죽음이후, 종교개혁 을 회복시킨 것이다. 영국에서도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수많은 써 클들을 통해 교회 갱신을 갈망했다. 1. 헨리 8세의 분열 16세기 초, 영국의 종교적 상황은 이중의 양상을 띄었다. 한편에서는 경건운동 이 꽃을 피워 전통신앙에 매달려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많은 사회계층에서 교회 세금과 교황 지..
-
루터의 종교개혁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28
루터의 종교개혁 사실 루터는 분리할 생각도 없었고 또 분파의 창시자적 기질도 없었다. 보편 교회의 통일성을 누구보다 귀중한 것으로 여겼으며, 그가 원한 것은 이 보편 교 회에 대한 개혁이었다. 그가 자기의 이상에 동조한 공동체들에게 하나의 조직을 부여할 생각을 한 것은 수년이 지나고 난 뒤였다. 1. 비텐베르크 운동 수년의 전투기간 동안, 루터는 비텐베르크를 복음주의 교리의 보루로 삼았다. 여기에서 그는 칼슈타트, 니콜라, 요나스, 부겐하겐, 스팔라틴, 멜랑히톤을 자신 의 입장에 가담시키거나 그들의 존경과 우정을 획득하였다. 그러므로 새 황제 칼5세가 주재한 보름스 국회에 루터가 불려 갔을 때, 그는 결코 혼자가 아니었다. 세속당국은 민중봉기가 두려워 로마의 종교재판에 넘기기 를 거부하고, 그에게 다시 ..
-
에릭슨의 정신분석이론목회참고자료 2021. 11. 19. 13:27
에릭슨 ( 정신분석이론 ) * Erikson의 일생을 통한 성격발달 Erikson은 Freud의 정신분석이론을 확장하여 일생을 거쳐서 전개되는 심 리적 사회적 발달은 8단계를 거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 대하여 심리,사회적 차원을 첨가시켜 서 성격발달단계를 발전시켰다. 1) 기본적 신뢰-불신(basic trust versus mistrust;0-1세) 유아기의 주요과업은 적당한 비율로 신뢰와 불신감을 획득하는 것이다. 신뢰감이 불신감보다 많아야 위기에 잘 대처할수 있다. 유아는 배가 고프면 어머니가 먹여주고, 또 놀라거나 고통스러울때 어머니가 자기를 안심시켜 줄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어머니가 아기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고 어머니 자신이 자 기에대한 신뢰를 가지고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