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
    목회참고자료 2021. 11. 18. 00:5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배경

     

    제3장 미국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사

     

    제1절 역사분석의 틀

    미국에서의 지역사회조직사업은 불만스러운 지역사회의 조건에 대해서 어떤 형태로든 자구책을 마련해야 된다는 명분을 가진 사회지도자들의 개혁의지의 표현이다.

     

    제2절 자선조직화운동시기(1865-1914)

    1. 사회적 상황

    1) 산업화 2) 도시화 3) 이민문제 4) 남북전쟁 이후의 흑인문제

    2. 이념적 상황

    1) 사회진화주의 - 철저한 개인주의와 맥을 같이 함. 최소한의 정부를 주장 : 환경에 잘 적응하는 자만이 생존하고 나머지는 도태

    2) 급진주의 - Henry George. 노조운동가들

    3) 실용주의 - John Dewey와 George Mead에 의해 구체화됨. : 사회개선을 위한 노력의 토대는 사회과학이다.

    4) 자유주의 - 하층계급의 권리가 의회에서 청취되도록 권력계층의 지지를 얻어내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함

    3. 자선조직협회운동

    Murphy : C.O.S의 프로그램

    1) social service indexes or exchanges

    2) 케이스줍석회의(case conference)

    3)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관한 광범한 연구 분석하여 특정조치 건의

    4. 인보관활동(social settlements)

    미국의 인본관운동은 C.O.S.보다 15년 뒤에 시작되었다. C.O.S.와 인보관운동은 당시의 동일한 사회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시작되었으나 산업화, 도시화, 이민 등으로 야기된 사회문제에 대한 분석이 달랐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과 사업내용도 판이하였다.

    1) 공립학교에서 탁4아사업, 급식, 심신장애자를 위한 특수교육과 직업교육과 지도요구

    2) 지역공원조성, 주택법규개선, 도시계획통해 밀집주거현상해소, 공립학교를 지역사회센터로 활용하는 것등을 요구

    3) 해외이민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이민보호연맹을 조직

    4) 근로여성을 보호하고 아동노동을 페지하기 위한 입법을 위해 투쟁, 전국아동노동위원회와 여성노조결성에 참여

    5) 시와 구 단위의 개혁활동에 참여, 1912년 창당된 진보당의 정강의작성과 조직 참여

    5. 전문분야와 전문교육

    1898년에 뉴욕 C.O.S.가 하계훈련과정을 세워, 전문인력에 대한 훈련 실시 - 이후 개별지도사업에 더 역점

     

    제3절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시기(1914-1929)

    1. 사회상황과 이념의 변화

    1) 1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대공황으로 이어지는 이 기간 동안에 앞 절에서 살펴본 사회적 상황, 즉 산업화와 도시화현상, 인종간의 대립과 갈등은 더욱 가속화되고 심화되는 양상을 보임

    2) 이념적인 면에 있어서 이 시기는 지난 시기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경제적 성장과 풍요 속에서 낙관론에 대한 다소의 비판적인 사상들이 제기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정신분석과 반지성주의를 들 수 있다.

    2. 지역공동모금제도(community chest and united fund)

    지역공동모금제가 창설된 방법

    1) 사회복지 기관들이 공동모금제를 실시한 경우

    2) 공동모금제가 사회복지기관협의회에 의해 조직된 경우

    3) 거액의 기붖2ㅏ들에 의해 지역공동모금제가 실시된 경우

    3. 사회복지기관협의회

    협의회의 활동

    1)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각종 위원회 설치와 지역사회문제의 계획, 실천

    2) 시범사업을 전개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존사업을 개선

    3) 목적 달성위해 시민의 지지를 구하고 정부의 조치를 촉구

    4) 복지기관에서 일할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를 선발하고 훈련

    5) 사회복지기관과 단체의 명부를 발간한다.

    6) 기타 여러 가지 관련활동을 추진한다.

    4. 전문분야의 발전

    이 당시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나 새로 등장한 정신분석의 이론에 영향을 받은 사회사업은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서 환경적인 변롸보다는 개인적인 치료를 더 중시하여 개벌지도사업이 사회사업의 본류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4절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1929-1954)

    1. 사회적 상황과 이념의 변화

    1) 대공황

    2) 대공황을 타개하기 위해 경제와 사회분야에 있어 정부의 개입이 크게 확장됨

    3) 대공황은 또한 노동조합운동을 활성화시켰다.

    4) 미국에서도 공산당이 조직되어, 특히 노조활동에 영향

    5) New Deal 정책으로 흑인들이 과거 백인에 의해서 점유되었던 정부요직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현저히 증가됨

    2. 공공복지사업의 출현

    2차세계대전으로 군관계 노동자와 군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자 이들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수요가 늘어남

    3. 전문분야와 전문교육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성격을 개념화하려는 전문분야의 노력이 활발함.

     

    제5절 지역사회조직의 정착시기(1955- )

    1. 사회적 상황과 이념

    1) 민권운동 - Martin Luther King, Jr. 와 남부기도교지도자회의가 흑인 민권투쟁에 앞장섬.

    2) 학생운동 - 민권운동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활동에 자극받아 상당수의 흑인 대학생은 물론 백인 대학생들도 정치활동에 가담했다.

    3) 사회개혁을 위한 연방정부사업 - 전기간을 퉁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연방정부의 역할이 크게 증가됨.

    2. 전문분야의 발전

    1) 지역 중심의 C.O.에 있어서 외부의 영향력이 증대됨

    2) 사회계획과 사회행동을 위한 센터들이 늘어감

    3) 정부기관의 사업이 활발해지고 있음

    4) 사회변화를 추구하는 경향이 엿보임.

    '목회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의 개념  (0) 2021.11.18
    지역사회복지의 정의  (0) 2021.11.18
    노인복지-노인의 특성  (0) 2021.11.18
    노인복지의 발전방향  (0) 2021.11.18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0) 2021.11.18
Designed by Tistory.